본문 바로가기

재즈 음악

(12)
즉흥연주-3-(improvisation) 5. 모든 음들을 스타카토로만 연주하거나 레가토로만 연주하지 말자. 다양한 아티큘레이션을 사용해야 한다. 재즈 음받의 솔로 부분을 유심히 들어보자. 매력 있는 연주에서는 다양한 아티큘레이션이 구사된다. 보다 다양한 표현을 위해서 우리가 연주하지 않는 악기의 솔로를 들어보자. 유명한 뮤지션들은 다양한 아티큘레이션을 위해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다. 6.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각각의 음들을 주의 깊게 생각하며 들어보자. 이러한 과정에서는 다음에 나올 음들을 끊임없이 예측하고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좀 더 발전된 즉흥연주를 준비할 수 있게 되며, 피치에 대한 감각도 키울 수 있다. 피치에 대한 감각은 안정적인 인토네이션에 매우 중요하며, 음정 폭이 큰 음들을 연주할 때에 매우 중요하다. 집중하는 것..
즉흥연주-2-(improvisation) 즉흥연주는 우리가 일상하는 언어와 비슷하다. 단어와 쉼표와 언성의 차이로 듣는 사람으로 부터 확연한 차이를 느끼게 된다. 우리가 즉흥연주를 배울때 처음에는 온음표로 스케일은 연습하고, 나중에는 8분음표 등의 짧은 음표들로 9음까지의 스케일과 코드톤을 연습한다. 이과 같은 연습 과정은 우리에게 다음 단계로 올라설 자신감을 준다. 그러면 그러한 단계들을 차근차근 살펴 보고자 한다. 일단 우리에게 익숙한 연습 형태를 이용하여 즉흥연주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 놓고 자유롭게 리듬과 스케일을 연주해보자. 아마도 8분음표와 쉼표 등을 사용해서 여러 음들을 연주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머릿속에 떠오르는 다양한 소리들을 연주해보자. 그것이 바로 즉흥연주이다. 새로운 시도를 마음껏 해보자. ..
스케일의 사용(scale)-2- 이번에는 홀톤과 디미니쉬의 사용을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홀톤 스케일을 연주할 때는, 이 스케일이 처음 시작하는 코드의 3음을 포함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위의 사진은 C키의 홀톤 스케일이다. 홀톤 스케일은 긴장감을 만들어내며, 보통 3, 5, 7, 9번째 마디의 첫 박에서 해결되는 것이 좋다. 혼톤 스케일을 사용한 몇 가지 예들을 보고 들으면서 공부하면 도움이 많이 된다. 도미넌트 7th 코드에서 코드 스케일의 3음과 b7음을 포함하는 홀톤 스케일로 연주하는지 체크하고 어떠한 소리들로 균형을 이루었는지 귀로 확인하면 어떠한 느낌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홀톤은 마치 신비스럽고 동화나 만화에 많이 등장하는 신비한 소리이다. 이번에는 디미니쉬 스케일을 알아보고자 한다. 디미니쉬 코드와 스케일은 긴장감을 주기..
스케일의 사용(scale) 기본적인 스케일을 우리가 터득하고 알았다면 우리는 스케일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먼저 블루스 스케일의 사용부터 보겠다. 전통적으로 블루스 스케일 사운드가 재즈에서는 많이 사용된다. 사운드에 다채오룸을 더해주는 블루스 스케일은 재즈와 여러 장르의 음악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블루스 스케일의 음계는 위에 나와 있는대로 음이 이루어지는데, 여기에 블루스 사운드를 유지하면서 다른 음들을 추가할 수있다. 9음과 3음 그리고 6음이다. 이 음들을 위나 아래도 순서대로 연주해보면 블루스 스케일처럼 들리지 않는다. 이유는 재즈 뮤지션들은 이 추가음들을 기본 블루스 스케일에 색채를 더하기 위해서 일부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스윙 솔로나 리듬 체인지의 솔로가 어렵다면, 블루스를 많이 연주하는것을 추천하..
턴어라운드(Turnarounds) -2- 자신이 단지 멜로디만을 연주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고 좋은 멜로디는 또한 좋은 화성과 흥미로운 리듬을 포함한다. 턴어라운드는 음악이라는 요리의 메인 코스와도 같다. 사람들은 두뇌의 10%만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사실이다. 악기 연주자들은 노래할 때, 10%의 한계선을 넘어가는 것이다. 멜로디가 화성적으로 잘 구축되어 있는 한, 키보드나 기타 반주에 항상 정확하게 맞출 필요는 없다. 화성은 어떤 흐름과 방향이 있으며 멜로디 라인도 그렇다. 곡에서 화성과 멜로디가 일반적인 속도로 진행하면, 사람의 귀는 미세하고 복잡한 이론에까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 한 가지 키의 2마디 또는 4마디 프레이즈에 대한 사운드와 핑거링을 암시하고 나서 다른 키를 연습해야 한다. 한 가지 키에 관한 연습 과정을 완전히 소화..
턴어라운드(Turnarounds) 자신이 단지 멜로디만을 연주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고 좋은 멜로디는 또한 좋은 화성과 흥미로운 리듬을 포함한다. 턴어라운드는 음악이라는 요리의 메인 코스와도 같다. 재즈 리듬의 첫 A섹션에는 2개의 턴어라운드가 나온다. 첫 번째는 3번째와 4번째 마디에서 나오며, 두 번째는 7번째와 8번째 마디에서 나온다. 이 부분은 전체 A섹션의 반에 해당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화성 진행을 매끄럽게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턴어라운드는 재즈와 스탠다드 곡의 화성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키에서 턴어라운드를 듣고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첫 번째 마디의 두 번째 코드는 마이너 또는 도미넌트가 될 수 있으며, 두 번째 마디의 첫 번째 코드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연주자들도 도미넌..
Intro and Vamp. 우리 어느 곡의 연주를 들어보면 도입부를 매우 비중있고 중요하게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우선 마디수만 보더라도 상당히 긴 것을 볼 수 있고전체의 양적인 면에서의 퍼센티지만 따져 보아도 상당히 의미를 두려 한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곡을 멋있게 연출하고 연주하는데 있어서 인트로는 꼭 필요한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면, 그것은 '아니다'가 정답일 것이다. 그렇지만 만약에 인트로가 곡의 시작을 부드럽게 유도해 주고, 이어주고, 곡을 시작하기 위한 에너지 레벨을 미리 충분히 상승시켜 준다면, 다른 표현으로 '곡을 미리 서서히 달구어 놓아 준다면' 충분히 활용가치가 있는 음악적인 요소로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앞부분에서 했던 '아니다'가 아닌 왜 '안돼?'가 정답이 될 것이다. 이것은 비단 일정 스타일의 ..
즉흥연주(improvisation) 일단 우리는 기본적으로 즉흥연주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다. 즉흥연주를 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즉흥연주를 항 수 없는 사람은 없다.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뿐이다. 사람은 마음 먹은 대로 되는 법이다. 긍정적인 태도는 성공적인 즉흥연주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즉흥연주와 멋진 재즈 연주를 위해서는 우리는 즉흥연주에 대한 열망과 음반과 공연을 통한 재즈 감상 그리고 연습, 리듬 섹션과 함께 연습, 자부심과 자기 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어렵지만 할 수 없는 사람은 없다. 재즈 연주자들은 즉흥연주를 할 때 몇 가지 근본적인 요소를 적용한다. 이왕 같은 요소들 중 몇 가지가 여기에 소개되고 있으며, 이제 이를 통해 여러분 내부에 갇혀 있는 놀라운 음악들을 풀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음악..
바운스vs스윙 우리가 이전에 알아보았던 스윙의 재즈라고 하면 1930년대부터 재즈의 가장 핵심적인 스타일 중의 하나로 워킹베이스를 바탕으로 유연하고 춤을 추는 듯 취청이는 느낌을 준다. 이 스윙 스타일 내에는 이미 바운스라는 리듬적인 감작을 내포하고 있다. 흔히 우리는 이것을 팔분음표 두개와 삼연음 팔분음표에서 앞에 두음이 이음줄로 이뤄진것으로 표현한다. 바로 부점이 있는 듯한 느낌이다. 여러분들 중에는 피아노 학원에서 하는 하농 연습을 할때 이런 연습법을 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실제 재즈에서는 바운스의 느낌은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없다. 그리고 같은 시대의 음악들을 살펴보더라고 아티스트마다 스윙의 느낌, 그리고 바운스의 느낌과 감각이 저마다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연습하는 입장에서 자신의 좋아하는 아..
스윙 재즈(swing jazz) 스윙은 우리가 흔히 재즈 음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리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익숙한 리듬 일것이다. 스윙 스타일의 재즈는 1930년대에 유래되어 미국에서 대 유행을 탔고, 1940년대에 독자적인 특징을 확립하며 스윙 스타일로 자리잡았다. 스윙이라는 단어는 그루브등과 같은 비슷한 의미로 음악을 '스윙스럽다' 라고 표현은 하기도하며 이런한 표현은 칭찬의 말이다. 스윙은 2,4의 세기를 주면 흥겨운 리듬이다. 스윙리듬은 춤추기에 아주 적합한 리듬이다. 그렇기에 스윙댄스라는 예술이 형성 되었으며 스윙재즈와 스윙댄스는 미국의 1930~1940년대에 대중문화로 자리매김 되었다. 스윙재즈에서 비밥을 모던 재즈의 시대로 진화 하면서 스윙 재즈의 인기는 사그러 들었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사랑은 받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