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지식

Call & Response

Call & Response 하면 쉽게 말 그대로 주고받기 교환이다. 주고받는 것도 서로 마음이 통해야 가능한 일이다. 우리가 대화를 주고받을 때나 눈빛으로 의사를 교환할 때나 전화로 얘기할 때나 선지자의 인도에 부응할 때나 서로 형태는 다르게 보일지 모르나 그 본질은 같은 것이 아닌가 한다. 음악의 표현에서도 Call & Response 하면 서로 주고받는 형햍를 띄며 jazz에서는 서로의 교감성이 높을수록 이루어 질 수 있는 확률이 높고 좀 더 흥미로운 형태로 일어나게 될 것이다. 가스펠이나 소울음악에서도 이 Call & Response는 매우 적극적이고 활성적인 형태로 즐겨 사용되었다. 특희 코러스와 솔리트 간에 Call & Response가 일어날 때에는 종교적인 환희를, 또는 다른 종류의 감정들을 표현하기에 매우 유용한 수단이 아니었다 싶다. Call & Response 자발적인 형태로 교감하면서,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다면, 앙상블 내의 플에리어들에게 시너지 효과를 줄 것이고, 신선한 연로를 공급받는 것과도 같은 효과가 있을 것이다. jazz에 있어서는 이렇게 자발적인 움직임이 주로 이루어지겠지만, 반드시 자발성만이 이를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은 아니다. 편곡적으로 본다면, 편곡자가 이 Call & Response 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얼마든지 강제적이지만 효과적인 편곡효과와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가 서로의 벽을 넘어서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발전 승화 시키는 길이기도 하다. 또한 Motive 같은 경우도 아무리 이야기하여도 중요한 부분이다. 음악에서 그것을 궁성하는 어떤 Motive, 혹은 테마, 혹은 작은세포의 단위가 없다면 그것은 무의미하고 장황한 산문이 되기가 쉽다. 물론 장황한 산문 자체도 훌륭한 예술성을 가지 형태로 부각 될 수도 있겠지만, 음악을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고전적인 개념과 선행되어온 훌륭한 예시과 곡들의 가치를 충분히 탐구해 볼 필요가 있고, 또 이것이 각가의 발전에 커다란 버팀목이 되어 줄 것이다. 단순한 코드의 패턴을 이용한 Motive의 전개구간으로 우리가 연주할 때 유용하게 활용해 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코드를 아르페지오로 펼친 형태를 볼수가 있다. 단지 그 펼쳐진 아르페지오가 밋밋한 리듬위에 있지 아니하고, 리듬적으로 톡톡 튀는 그러한 느낌을 주는 패턴위에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에 듣는 이로 하려금 흥미를 유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다시 풀어서 설명하자면 빠른 16분음표의 리듬위에, 또한 출발점이 정박이 아닌 엇박 위에서 출발을 하기에 평범한 느낌보다는 뭔가 모르게 움찔움찔하고 꿈틀꿈틀하는 느낌을 주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또한 다름 템포의 곡들을 시도 할 때에도 이런 아이디어들을 적용시켜서 활요해 보고 과여 어떠한 효과와 느낌을 가져다주는지 모니터링 해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음악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딩의 활용(Ending)  (0) 2020.04.17
노래하는 vs 기계적인(singable vs mechanical)  (0) 2020.04.15
느린 박자(a slow tempo)  (0) 2020.04.14
박자와 듣기(time and listening )  (0) 2020.04.11
우뇌와 좌뇌  (0) 2020.04.10